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42 Seoul 대비 리눅스 공부 (생활코딩 - 파일 다운로드 방법)

리눅스/리눅스 기초

by Banjosh 2023. 1. 25. 12:59

본문

  GUI환경인 window10에서는 마우스 클릭으로 파일 다운로드가 쉽게 가능하다. 하지만 명령어로만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LI환경에서는 파일 다운로드도 명령어를 통해 해야만한다. 그 방법에 자주쓰는 것이 wget과 git 2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를 배워보자.

  • wget

 wget은 url을 이용하여 다운을 받는 방법이다. wget [url] 을 입력하면 url을 통해 다운받을 수 있는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wget --help를 보면 옵션에 wget -O [파일 이름] [url]가 있다. 이는 원래 wget [url]을 이용하면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지만 파일 이름을 정하지 못하는 단점을 보완한 명령어이다. 따라서 wget -O [파일 이름] [url]을 이용하면 파일을 다운로드 하면서 저장할 때 파일 이름까지 정할 수 있다.

 

  • git

  git은 버전관리 시스템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다. 버전관리 시스템이란 프로그램들의 변경사항들을 기록해서 소스코드를 백업하거나 프로그래머들이 협업을 할때 사용하는 등 작업하는데 있어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프로그램이다. git은 맥, 윈도우, 리눅스 등 여러 os에서 다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사용빈도도 높고 필수적인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꼭 배워야한다는 것이다. 

 github라는 사이트가 있는데 git이라는 도구로 만든 소스코드를 온라인상에 업로드시켜서 협업을 가능하게 만든 사이트이다.(수많은 오픈소스의 집합) 따라서 프로그래머들에게는 공공재의 역할을 하는 사이트이다. 그러면 github의 오픈소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페이스북에서 만든 React라는 오픈소스를 보자. 소스코드들이 모드 github에 업로드되어있어 온라인상으로 직접 볼 수도 있고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두가지 방법으로 다운받을 수 있는데 그냥 다운받는 방법이 있고 git 명령어를 이용해 받는 방법이 있다. 이번 시간에는 git 명령어를 이용해 다운받는 방법을 알아보자.

 github사이트를 보면 Clone or download라는 버튼이 있다. 여기에 url이 나오는데 이 url이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소스코드에 대한 주소이다. (해당 페이지에 대한 주소x)  우선 터미널에 git을 입력해 git이 깔려있는지 확인하고(만약 안깔려있으면 apt를 이용해 다운받으면 된다) 깔려있으면 위에서 나온 소스코드의 주소인 url을 복사하여 git clone [url]을 입력해 다운로드를 한다.(입력한 주소에 있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복제한다는 뜻의 명령어이다) 명령어를 입력하면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파일뿐 아니라 프로젝트가 버전을 거듭해오면서 변천돼왔던 모든 변화들을 다 컴퓨터에 복제하게 된다.  

 이때 그냥 다운로드 하는 것이 아니라 git clone [url] [이름]을 이용해 다운로드하면 [이름]의 디렉토리에 url이 가르키는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모두 다운로드 된다.(파일 + 소스코드의 변천사 다운완료) 

  git에대한 기능은 더 많이 있지만 아직은 리눅스에 대해 공부할게 많으므로 git은 여기까지만 배우고 더 자세한 내용은 따로 공부하기로 하자.

 


reference. https://opentutorials.org/course/2598/14188

관련글 더보기